오늘의 금시세 금투자방법 금통장 골드바 금ETF 향후금시세전망
목차
1. 오늘의 금시세
2. 금투자방법 골드바 금통장 금ETF
3. 향후금시세전망
4. 마무리
오늘의 금시세
4월 4일 기준, 오늘의 금시세 순금 한돈 살때 640,000원, 팔때 543,000원 에 거래되고 있다.
순금 한돈 기준으로는 Gold 24K 3.75g기준으로 4월 2일 미국의 관세부과정책이 발표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상승세를 보이고있다.
작년 422,000원이었던 순금시세에 비해서는 오늘의 금시세는 51.66% 상승한 가격이다.
그렇다면 국제금시세는 어떨까?
국제금시세는 온스당 3,115.3달러로 기준환율 1,453.78원 기준이다.
은시세는 백금시세 내가살때 198,000원, 내가팔때 163,000원이며, 은시세 내가살때 6,870원, 내가팔때 5,470원으로 거래된다.
순금시세 이외에도 18K, 14K 제품시세에 대해서도 정리해보겠다.
※ 한국금거래소 4월 4일 기준 오늘의 금시세
· 순금 24K시세 : 내가살때 640,000원, 내가팔때 543,000원
· 18K금시세 : 내가살때 제품시세적용, 내가팔때 399,200원
· 14K금시세 : 내가살때 제품시세적용, 내가팔때 309,600원

금투자방법
금시세가 상당히 상승한 가격에 국제금시세로는 이미 온스당 3000달러를 넘어서다보니 금투자방법에 관심이 모여지는 것은 사실이다. 대표적인 금투자방법 중 골드바, 금통장, 금ETF 관련된 장단점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1. 골드바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걱정 없이 가장 안전하게 내눈으로 확실하게! 금투자방법이 바로 골드바이다.
최근 금시세상승에 따른 일부 거래소와 은행권에서는 골드바품귀현상까지 빚어졌다보니 더욱이 값어치있게 느껴지는 투자방식이기도 하다.
화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안전적으로 분류되는 자산이 바로 금이다보니 골드바의 가치는 금가격이 상승한다면 계속해서 높아질 수 밖에 없다.
한국금거래소 기준으로 3.75g골드바 가격인 680,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보유세, 상속세 걱정없이 안전한 곳에 보관할 수 있다면 장기간 보유해도 되는 자산일 것이다.
다만, 골드바를 처음에 구매시에는 부가세 10%가 부과되며 골드바 외에 금화, 돌반지, 행운의열쇠 등의 세공품으로 금을 투자하시는 분들이시라면 그외 세공비가 별도로 부과되는 점 유의하시기를 바란다.
2. 금통장
금통장 골드뱅킹 이라고도 하는 금투자방법은 금실물을 구매하지 않고도 금투자를 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은행권 골드뱅킹 상품에 가입하여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통장을 활용하여 매수매도가 가능한 투자방법이다.
계좌에 돈을 입금하여 은행에서는 입금액에 해당하는 금을 기준 국제시세에 맞추어 금무게로 환산해주는 적립방식이며, 일부 골드뱅킹 상품에 대해서는 금현물로 인출할 수 없는 상품도 있을 수 있으니 가입전 확인해보시기를 권장한다.
은행권의 골드뱅킹은 예금자보호대상에서 제외되다보니 원금손실에도 항상 유의해야 한다.
다만, 접근성이 좋기도 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거래할 수 있으며, 0.01g 소액으로도 금거래가 가능한 장점이 있을 수 있다.
금통장 가입후에도 금현물 인출이 가능한 상품이라면 현물인출시 부가세10%에 기타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다.
또한, 금통장 매매로 발생한 차익에 대해서는 배당소득세 15.4%가 부과된다.
3. 금ETF
증권사의 계좌를 개설하여 투자하는 방식이 금ETF 투자방식이다. 증권사앱을 통한 거래가 가능하며, 퇴직연금 계좌를 활용해서도 투자할 수 있다.
여러 증권사에서 운용하는 금관련 ETF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소액으로도 시작할 수 있는 거래가 있다.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 상장된 금관련 ETF에 투자하는 방식도 있다.
금ETF관련해서는 국내 ETF의 경우, 매매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 15.4%가 부과되며, 해외ETF의 경우라면 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 22%까지 부과될 수 있다.
여기에 금관련 ETF를 운용하는데 들어간 증권사 운용수익도 별개로 발생한다고 볼 수 있겠다.

향후금시세전망
향후금시세전망을 알아보기 전 과거 금시세는 어땠을까? 과거에도 실제로 몇몇의 역사적인 순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금값은 우상향곡선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최근들어 금을 선호하는 이유도 달라지고도 했고 투자하는 수요가 확대되다보니 금가격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중국뿐 아니라 인도, 튀르키예, 브라질 등의 신흥국에서도 미국 달러의존도에 의존하기 보다는 금매입을 통해 안전자산을 많이 보유하려는 움직임들이 보이면서 금값이 상승하고 있다.
물론 트럼트 대통령의 취임 이후에도 금시세가 계속해서 상승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다면 언제까지 금값 상승의 장기적인 추세가 이어질것인지에 대해서는 고민해봐야 한다.
단기적으로 금값이 상승하는 것에 대해서 가치를 두고 투자한다면 위험할 수도 있다.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의 안전성을 따져보아 투자해야할 것이다.
전쟁, 경제적인 불안정함 등의 국제 정세에 한국에서는 특히 김치 프리미엄까지 붙은 상황이다보니 금가격이 아무래도 하락하는 시점을 기다리는 것 또한 맞는 의견이겠다.

마무리
최근 발표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을 가장 큰 영향으로 금가격이 오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인 불안감증폭과 전쟁 등의 지정학적인 불안요소가 겹치다보니 중앙은행에서도 상대적으로 금매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중앙은행 등의 기관뿐 아니라 개인들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이제는 투자가치로도 엄연하게 인기를 끌고 있는 시점이다.
투자안전성을 전반적으로 고려하면서 앞으로도 금가격에 대한 중장기 수익률 제고를 통해 금투자에 대해서 보다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겠다.
'이슈 >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국제 국내 금시세 금값 순금 한돈 살때 팔때 골드바 가격 (3) | 2025.04.12 |
---|---|
청년적금 통장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조건 신청기간 만기금액 이자 총정리 (4) | 2025.04.10 |
신협 특판 정기예금 금리비교 1년 6개월 예금 금리 높은곳 예금이자계산기 (0) | 2025.04.03 |
오늘의 금시세 순금 24K 18K 14K 내가살때 팔때 금가격 골드바 금통장 (1) | 2025.04.02 |
오늘의 금시세 금투자방법 KB국민은행 KB골드뱅킹 금가격 수수료 (2)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