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경제이슈

2025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나이 만 65세 연금계산

by bebemom 2025. 5. 11.
728x90
반응형
SMALL

2025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나이 만 65세 연금계산

 

목차
1. 기초노령연금 왜 있어야할까
2. 수급자격 나이
3. 연금금액계산
4. 마무리

 

 

 

반응형

나이가 들수록 소득은 점차 줄어들고 안정적인 노후생활의 유지가 힘들다보니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제도로 2025 기초노령연금 제도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한다. 기초노령연금이 왜 있어야하는지와 수급자격 나이 연금금액계산까지 관련 내용들을 알아보겠다. 

2025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나이 만 65세 연금계산

기초노령연금 왜 있어야할까

기초노령연금은 만 65세 이상이면서 소득이 일정기준액을 충족한다면 받을 수 있다. 고령화사회로 빠르게 진입은 물론이며, 조기퇴사로 경제적으로 위험에 처한 가정이라면 보다 안정적인 노후생활에 도움을 받기 위해서 꼭 필요한 제도이기도 하다.

2025 기초노령연금제도는 기존에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았어도 국가에서 제공되는 사회보장제도이다보니 기본적인 노후생활유지를 위해서 활용되는 제도이기도 한 것이다.

참고로 2025년 기준으로 기초노령연금은 월 최대 342,510원을 받을수 있다. 

 

기초노령연금 왜 있어야할까

수급자격 나이

매월 수령할 수 있는 2025년 기초노령연금에 대해서 수급자격 나이, 소득 선정기준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해볼 수 있겠다.

 

1. 수급자격 나이

■ 국적 : 대한민국 국적이면서 국내에 거주하는 어르신

■ 나이 : 만 65세이상

■ 소득 : 소득인정액 선정기준액 이하일 것

 

2. 제외대상

■ 공무원연금, 사립학교 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연금 수급권자 및 그 배우자의 경우라면 기초연금 수급대상에서 제외

 

2. 소득인정액

기초노령연금 금액계산시 소득인정액 선정기준액 이하인 분들에게만 지급이 가능하다. 가구유형별 선정기준액 이하여야 지급이 가능하다.

 

구분 단독가구 부부가구
선정기준액 2,280,000원 3,648,000원

 

월소득평가액 재산의 월 소득 환산액을 합한 금액을 말하며, 단독가구와 부부가구로 분류하여 소득인정액을 계산할 수 있다.

2025년 기준으로 기초노령연금 신청시 부부중에 한명만 신청하는 경우라도 부부가구에 해당하여 3,648,000원 이하여야지 기초노령연금을 수급할 수 있겠다. 매월 25일 신청시 기재한 계좌로 지급되며 공휴일이나 휴일인 경우 그 전날 입금되는 것이 원칙이다. 

2025년기초노령연금수급자격 나이

 

연금금액계산

그렇다면 2025년 기초노령연금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매월 지급받는 연금금액계산은 재산과 소득에 따라 개인마다 매월 수령하는 금액이 달라진다.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서 무료로 연금모의계산도 가능하다. 

 

1) 소득인정액이 100만원이라면? 

매월 342,510원을 지급받을 수 있다.

 

2) 단독가구로 소득인정액이 240만원이라면?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선정기준액은 228만원으로 감액되어 지급이 된다. 

 

3) 기존 노령연금을 수급하거나 장애인연금 특례수급자에서 기초연금 특례때상자로 전환되었다면?

기초연금액은 기준연금액의 50%로 산정되며, 소득재산수준이 높을 경우라면 감액되어 받을 수 있다.

기초노령연금연금금액계산

 

 

마무리

기초노령연금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신청할 수 있겠다.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신청도 가능하며, 전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방문을 통해서 오프라인으로도 얼마든지 신청이 가능하다.

다만, 앞서 알아본 것 처럼 소득인정액 선정금액 이하가 되어야지 신청이 가능하다보니 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한달전이라면 신청하여 지급받을 수 있겠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