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경제이슈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납부 노령연금신청 예상연금액 지급개시연령

by bebemom 2025. 2. 4.
728x90
반응형
SMALL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납부 노령연금신청 예상연금액 지급개시연령

 

목차
1. 국민연금
2.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예상연금액) 조회, 납부
3. 노령연금 지급개시연령
4. 노령연금 신청

국민연금예상수령액조회

 

 

노령연금은 국민연금 제도의 하나로 가입기간이 10년이상일 경우 출생연도별로 지급개시연령에 따라 평생 받을 수 있습니다.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는 본인의 출생연도에 따라 달라지다보니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 지급개시연령, 예상수령액조회방법 등에 대해서 관련 내용을 정리해볼게요. 

 

 

국민연금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사회보장제도로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습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국민연금제도입니다.

보험원리에 따라 운영되는 대표적인 사회보험제도로 노령연금, 유족연금, 장애연금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이중 노령연금은 노령으로 인한 근로소득의 상실을 보전하기 위해 매월 제공되는 급여형태로 국민연금의 기초가 되는 급여입니다. 

노령연금은 가입기간, 연령, 소득활동 유무에 따라서 노령연금, 조기노령연금으로 구분되어 수령액, 지급개시연령까지 차이가 있게 됩니다. 

국민연금납부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납부

1.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국민연금 종류 중에 가장 대표적으로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을 가입기간에 따라 얼마정도를 받을 수 있을지 예상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노령연금 예상수령액 조회의 경우, 월 납입보험료를 바탕으로 10년, 15년, 20년, 25년, 30년, 35년, 40년 가입으로 기간에 따라 매월 지급예상액을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홈페이지내 예상연금 간단계산을 통해서 월 납입보험료 입력으로 조회하는 해의 1월 1일부터 가입하여 10년 이상  납입후 얼마정도의 예상연금액을 받을 수 있을지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월 납입보험료를 30만원으로 설정하여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조회해보면 35년 가입기간을 유지하면 매월 1,125,740원을 수령할 수 있게 됩니다.

월 납입보험료를 30만원으로 설정하여 노령연금의 매월 예상수령액을 계산해볼게요. 원단위 계산이며, 세전금액입니다.

다만, 어디까지나 모의계산이다보니 실제 연금수급시 세금을 공제한 금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보니 대략적으로 확인하시는 데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10년가입 15년가입 20년가입 25년가입 30년가입 35년가입 40년가입
323,360 483,830 644,310 804,780 965,260 1,125,740 1,286,210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2. 보험료 납부

보험료를 납부하려는 가입자는 가입자 자격을 취득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달부터 가입자 자격을 상실한 날의 전날이 속하는 달까지 매월 연금보험료를 납부하게 됩니다.

2025년 기준으로 국민연금은 9%로 계산되다보니 사업장에 속한 근로자라면 사업장 4.5%와 개인분 4.5%로 각각 부담하여 납부하게 됩니다.

국민연금 보험료 고지서 상에는 그달 15일까지 신고된 취득, 상실자만 반영되다보니 16일에서 말일 사이의 변동자의 경우라면 다음달 고지서에 반영되어 확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매월 납입하는 연금보험료에 대해서 종합소득이 있는 근로자라면 연말정산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2006년도부터 추납보험료를 포함하여 연금보험료 전액에 대해서 소득공제가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부담한 부분과 연체금, 자동이체, 이메일 고지 감액금액, 반납금은 소득공제 금액에서 제외됩니다. 

 

연금보험료 소득공제시 별도의 증명서류를 제출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국세청에서 소득공제 처리가 가능합니다.

국민연금보험료납부

노령연금 지급개시연령

국민연금의 종류중에 하나인 노령연금은 가입기간이 10년이상이라면 출생연도에 따라 지급개시연령이 지나면 매월 평생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의 출생연도에 따라 지급개시연령이 달라지다보니 만나이기준으로 살펴볼게요.

1969년생 이후라면 만 65세가 지난 이후에 지급개시가 가능하며, 1966년생이라면 2031년부터 국민연금 지급개시가 가능하겠네요. 

 

출생연도 노령연금 지급개시연령
1953~1956년 61세
1957~1960년 62세
1961~1964년 63세
1965~1968년 64세
1969년 이후 65세
노령연금 지급개시연령

노령연금 신청

노령연금 신청은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방문을 통해서 가능하며, 우편, 팩스로도 신청청구가 가능합니다.

또한 ,공단으로부터 사전에 청구안내문을 받은 분이시라면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를 통해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온라인 신청의 경우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네이버, 카카오페이 등의 간편인증으로 로그인이 가능한 경우에 한합니다. 

신청시 필요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노령연금지급청구서(본인서명 필수)

■ 신분증사본(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장애인복지카드, 외국인등록증 중 택1)

■ 혼인관계증명서 1부(상세증명서로 발급, 주민등록번호 전체표시)

■ 수급권자 본인명의 예금계좌

■  도장(서명가능)

 

단, 배우자 외의 부양가족연금 대상자가 있는 경우라면 주민등록번호가 전체 표시된 가족관계증명서 1부도 같이 지참하시면 됩니다.

노령연금 신청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