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청약 소득공제 종류 한도 대상 연말정산 제출서류
목차
1. 주택청약 소득공제
2. 주택청약 소득공제 종류
3. 소득공제 한도, 대상
4. 연말정산 제출서류
기존에 청약저축 혹은 주택청약종합저축 상품을 가지고 계시다면 연말정산시 주택마련저축공제 소득공제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 납입금액의 40% 를 연말정산시 소득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보니
주택청약 소득공제 종류 한도 연말정산시 제출서류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볼게요.
주택청약 소득공제
무주택자로서 주택마련을 위한 저축금융상품에 가입하고 있으시다면 주택청약에 납입한 금액의 40% 한도로 해당 연도의 근로소득금액에서 연말정산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마련저축을 통해서 납입금에 대해 연말정산시 소득공제적용도 받고 청약당첨시에는 1순위자격을 얻을 수 있을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 소득공제](https://blog.kakaocdn.net/dn/uy8GG/btsL6onCzVY/yKG4gM5Bbz9h0xKh4Z9L9k/img.png)
주택청약 소득공제 종류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혜택이 주어지는 주택청약 소득공제 종류로는 청약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청약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 외 장기주택마련저축 상품은 2013년부터 연말정산 소득공제 대상에서 제외되었습니다.
1. 청약저축
무주택 근로자인 세대주로 해당 과세연도중 청약저축에 납입한 금액이 소득공제 대상이 되며, 2009.12.31 이전 가입한 청약저축의 경우라면 국민주택규모의 주택으로 저축상품 가입당시 기준시가 3억원 이하인 주택을 1채만 소유한 세대의 세대주도 포함됩니다.
2. 주택청약종합저축
무주택 근로자인 세대주로 다음연도 2월말까지 저축취급기관에 제출한 경우 주택청약종합저축에 납입한 금액에 대해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경우 세대주만 해당되며, 세대원일 경우라면 소득공제 혜택을 적용받을 수 없습니다.
![주택청약 소득공제 종류](https://blog.kakaocdn.net/dn/OLbcn/btsL6UMY0dh/CyTM9vprGgRmaKdwGprepK/img.png)
소득공제 한도, 대상
1. 소득공제 한도
청약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 상품의 경우, 연 납입액 300만원 이하의 금액으로 40% 한도로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경우 연 납입액 300만원 이하의 금액이다보니 최대 120만원까지 소득공제 한도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청약저축에 대한 연간 인정 납입금액이 25만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2. 소득공제 대상
주택청약 소득공제를 연말정산시 적용받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충족해야 소득공제 대상에 속합니다.
■ 무주택자 : 과세연도 중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세대주
■ 근로소득자 : 일용근로자를 제외하고 사업소득자나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
■ 급여조건 : 총 급여액 7,000만원 이하
![주택청약소득공제한도대상](https://blog.kakaocdn.net/dn/2TPod/btsL6bPAlnJ/iU0wUi3gK4C9jkj1FNWSNk/img.png)
연말정산 제출서류
주택청약 소득공제를 적용받으려면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로 조회되는 경우에는 서류를 별도로 제출하지 않아도 되는데요.
다만, 간소화서비스에서 불러오기가 되지 않는 자료에 대해서는 별도의 증빙자료를 제출해야하다보니 주택마련저축납입증명서에 대한 서류만 별도로 제출하시면 됩니다.
주택마련저축납입증명서 : 연도말 현재 납입액이 표시되어 있는 주택마련저축통장 사본 또는 주택마련저축납입액을 일괄적으로 기재하여 제출
이는 청약저축을 가입하고 있는 해당 금융기관(은행)에 문의하여 발급받을 수 있는 서류이다보니 간소화서비스에서 불러오기가 되지 않는다면 별도로 요청하시어 제출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주택청약저축연말정산 제출서류](https://blog.kakaocdn.net/dn/1YKiR/btsL6hPGakh/0c5pKGcKRWFfZAHG42uPfK/img.png)
주택청약저축은 무주택자의 경우 청약1순위라는 우선순위도 주어지지만 연말정산시 최대 120만원 한도로 소득공제 혜택까지 챙겨볼 수 있네요.
최근 연간 납입한도도 10만원에서 25만원까지 한도가 상향되다보니 본인의 경제상황과 청약저축계획에 따라서 적절한 금액을 납입하시는 것 또한 중요하겠습니다.
'이슈 >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금시세 18K 24K 금값 골드바 순금 살때 팔때 가격 금투자 금시세상승요인 (3) | 2025.02.07 |
---|---|
2025 미국 FOMC 일정 한국시간기준 금리발표 미국 기준금리 전망 (2) | 2025.02.06 |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납부 노령연금신청 예상연금액 지급개시연령 (2) | 2025.02.04 |
정기예금 금리비교 새마을금고 1년 6개월 이자계산 새마을금고 등급확인방법 (4) | 2025.02.03 |
2025 문화누리카드 사용방법 사용처 잔액조회 방법 (6)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