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실업급여 신청조건 지급금액 재취업시 신청방법
목차
1. 실업급여
2. 실업급여 신청조건
3. 지급금액, 재취업시
4. 신청방법
경기가 좋지 않다보니 그만큼 실직자가 많아지고 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기업의 구조조정으로 인한 퇴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실업급여 신청조건, 지급금액, 재취업시 실업급여,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실업급여
비자발적인 사유로 일자리를 잃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취업을 할 때까지 최소한의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급여가 바로 실업급여입니다.
퇴사이유에 있어서 반드시 본인의 개인사정과는 무관하게 비자발적인 사유로 퇴사한 경우에만 해당되며 최소 120일에서 최대 270일까지 지급받을 수 있는 급여입니다.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고용보험의 가입이 선행되어야 하는데요. 직장을 다니면서도 고용보험에 가입되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순하게 개인적인 이유로 퇴사한 경우라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실업급여 신청조건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3가지 요건을 충족해야지 신청 및 지급이 가능합니다.
1. 고용보험 가입기간
퇴직 전 18개월동안의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2. 퇴사사유 : 전직장의 퇴사사유가 본인의 개별적인 사유가 아닌 비자발적 퇴사사유에 해당한다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권고사직, 계약만료, 폐업, 직장내 괴롭힘, 임금체불, 근로환경악화 등의 퇴사의 경우에는 비자발적 퇴사 사유로 인정되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구직의사 : 재취업을 위한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해야 합니다. 실업급여를 받는 동안에도 4주마다 구직활동에 대해서 보고하여야 하며 최소 1회이상의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다면 실업급여 수급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지급금액, 재취업시
1. 실업급여 지급액
실업급여 지급금액은 퇴직전 평균임금의 60%로 계산됩니다.
이직전 3개월간의 총임금을 총 근로일수로 나누어서 평균임금을 계산하고, 여기에 60%를 곱한 금액이 하루 실업급여 지급액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상한액 66,000원, 하한액 63,104원을 기준으로 다음의 기간동안에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는 실직자가 고용보험에 가입한 기간과 이직 당시의 연령에 따라서 최소 120일에서 최대 270일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피보험기간 /연령 | 1년미만 | 1~3년미만 | 3~5년미만 | 5~10년미만 | 10년이상 |
50세미만 | 120일 | 150일 | 180일 | 210일 | 240일 |
50세이상, 장애인 | 120일 | 180일 | 210일 | 240일 | 270일 |
2. 재취업시 실업급여
실업급여가 남아있는 기간안에 조기취업을 할 경우, 실업급여의 일부 또는 전액을 일시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조기재취업수당으로 실업급여를 받다가 취직하거나 자영업을 시작하는 경우에 해당되며, 12개월 이상 고용된 경우에 지급됩니다.
재취직한 날 또는 사업을 시작한날부터 12개월이 경과한 이후에 신청이 가능하며, 남은 실업급여의 50%를 조기재취업수당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수급기간중에 취업한 경우라면 취업사실신고서를 제출하여 신고하시면 됩니다.

신청방법
실업급여를 신청받기 위해서는 먼저 퇴직한 회사에 고용보험 이직확인서 제출을 요청해야 합니다.
그 이후 워크넷을 통해서 구직등록을 하고 고용보험 홈페이지나 고용센터 방문을 통해서 수급자격에 대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직확인서 제출 → 워크넷 구직등록 → 고용센터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수급자격신청 → 수급자격인정신청서 및 구직활동계획서 제출 → 1차 실업인정교육 수강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교육) → 실업급여 지급받는동안 월 1회이상 구직활동 및 온라인으로 구직활동 내용 제출
실업급여 수급자격을 인정받은 후에도 고용센터를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실업인정을 통해서 재취업에 대한 노력을 증명해야합니다.
갑작스러운 기업의 사정상 실직하는 경우도 있다보니 실업급여에 대한 지급기간, 지급금액에 대한 정보는 알고계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이슈 >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미국 증시 휴장일 미국 주식 거래시간 프리장 정규장 특징 차이점 정리 (0) | 2025.02.15 |
---|---|
파킹통장 CMA 금리비교 이자높은 파킹통장 CMA 추천 (1) | 2025.02.14 |
청년월세지원 한시특별지원 신청조건 지원금얼마 신청방법 (2) | 2025.02.12 |
신협 정기예금 금리비교 특판예금 1년 6개월 금리높은곳 저율과세 이자계산 (0) | 2025.02.11 |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방법 환급일 일정 국세환급금조회 (1)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