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경제이슈

농지연금 토지연금 가입 조건 방법 노후 장단점은?

by bebemom 2025. 6. 27.
728x90
반응형
SMALL

농지연금 토지연금 가입 조건 방법 노후 장단점은?

 

 

목차
1. 농지연금 토지연금 
2. 가입 조건 방법
3. 노후 장단점
4. 마무리 

 

 

60세 이상의 고령농업인이라면 국민연금 외에도 농지연금 제도를 활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노후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다. 

고령인이 소유한 농지를 담보로 하여 매월 최대 300만원까지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농지연금 토지연금

가입 조건 방법 노후 장단점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 정리해보겠다. 

 

농지연금 토지연금 가입 조건 방법 노후 장단점은?

농지연금 토지연금

만 60세 이상의 노령 농업인이라면 소유한 농지를 담보로 노후생활의 안정자금을 매월 연금으로 받을 수 있다. 농지연금 또는 토지연금 이라고도 하며 농지자산에 대해서 임대수익도 추가로 얻을 수 있으며, 농업인의 노후생활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사업이기도 하다.

농지연금 수령방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며, 부부 각 개인이 종신까지 받을 수 있는 방식도 있다보니 농지연금에 대해서 알아두시는 것이 좋겠다.

농지연금 토지연금

 

가입 조건 방법

농지연금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나이, 농업경력, 농지가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1. 나이조건

신청년도 말일기준 농지소유자 본인 60세 이상이어야 신청이 가능하다. 2025년 기준으로 1965년 12월 31일 이전의 출생자로 일정 연령이상이 도달하는 경우에만 신청가능하다. 

 

2. 농업경력

영농경력이 실제로 5년이상이어야지 가입이 가능하다. 5년의 기간은 연속적이지 않아도 되며, 전체 영농 기간중에 합산하여 5년이상이면 가능하다. 다만, 농지연금 수령방법 중 은퇴직불형의 경우에는 영농경력이 10년 이상이야지 신청할 수 있겠다. 

 

3. 농지 조건

담보하려는 농지에 대해서는 농지법상 농지 중에 공부상 지목이 전, 답, 과수원으로 본인 소유이며 실제 영농에 이용되는 농지여야 한다. 공부상 지목 전, 답, 과수원으로 2년이상 보유하였으면서 본인의 주소지와 담보농지까지의 직선거리가 30km 이내여야지 신청이 가능하다. 

다만, 불법건축물이 설치되어 있거나 본인 또는 배우자 이외의 다른 사람과 2인이상 공동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외되며, 압류 등의 목적물 또한 신청할 수 없다.

농지연금 가입 조건 방법

 

노후 장단점

그렇다면 농지연금 가입으로 월 최대 300만원을 받는 장점만 있는 것인지 생각해봐야한다.

농지연금 노후 가입으로 장단점을 살펴보겠다.

 

1. 노후 장점

농지연금을 받던 농업인이 사망하는 경우에도 배우자 승계로 배우자 사망시까지 농지연금 을 계속 받을 수 있다.

매월 최대 300만원까지 수령이 가능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노후소득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정부예산을 재원으로 하다보니 안전하기까지 하다. 농지연금 가입으로 6억원 이하의 농지는 전액 재산세가 감면되며, 6억원 초과에 대해서는 6억원까지 감면혜택을 받을 수 있겠다.

또한 농지연금을 받으면서 해당 담보농지에 직접 경작하거나 임대를 하여 부수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 

 

2. 단점

농지연금 가입으로 인한 대표적인 단점으로는 농지를 놀릴 수 없다는 것이다. 본인 또는 임대하여 계속 경작을 유지해야하며, 농지 매각 또한 개발도 제한된다. 

농지연금 수령액은 농지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되다보니 해당 담보농지의 가치가 하락하는 경우에는 농지연금 수령액도 매월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농지연금노후 장단점

 

 

마무리

향후 농지연금을 매월 얼마까지 받는지에 대해서는 담보농지 평가액에 따라서 결정된다.

농지연금 홈페이지 내 예상수령액조회를 통해 예상 농지연금을 확인하실 수 있겠다. 

기준나이 60세로 농지평가금액이 1억원이라면 월지급금은 313,570원, 저후후박형 380,650원, 266,450원, 수시인출형 221,720원 등으로 수령유형에 따라서 미리 계산도 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