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2025 신청 기간 조건 방법 발표일정
목차
1.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2. 2025 신청기간 조건
3. 지원내용 만기수령조건
4. 마무리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9세 이하의 청년이라면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을 신청하여 만기시 최대 720만원 이상을 수령할 수 있겠다. 최근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과 유사한 저소득층 청년 지원사업으로 보시면 되겠다.
2025년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신청 기간 조건 방법 발표일정 등의 관련 내용들을 정리해보겠다.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부산시에 거주하면서 일하는 저소득층 청년이라면 2025년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사업에 신청할 수 있겠다. 2024년과는 달리 올해는 총 6,000명을 모집하는 사업으로 지난해에 비해 1.5배 규모로 확대되어 지원된다.
매월 10만원씩 정액으로 납부하는 청년적금으로 2년, 3년 으로 가입자 본인이 선택하여 매월 동일한 금액을 납부하면 만기시에 부산시지원금이 1:1 금액으로 매칭지원되는 사업이다.
신청일 기준으로 거주조건, 나이, 소득 등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신청할 수 있으며, 선착순이 아닌 추첨방식으로 발표된다.

2025 신청기간 조건
1. 신청기간
2025년 기준으로 오는 7월 8일부터 신청이 시작되며, 7월 23일까지 신청접수를 받게 된다. 발표일정은 9월 4일예정이다.
2025년 7월 8일(화) 오전 9시 ~ 7월 23일(수) 오후 6시까지 부산청년기쁨두배통장 홈페이지를 통해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2. 신청조건
2025년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사업으로는 현재 부산광역시 거주기준 및 나이, 근로, 소득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신청이 가능하다.
1) 거주 : 주민등록 기준 부산광역시 거주
2) 나이 : 18세 ~ 39세 청년
3) 근로 : 4대보험 중에 1개이상 직장가입자, 자영업자 근로중인 청년(공무원, 유치원교사 등도 신청가능)
4) 소득 :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로 1인 월 소득기준 3,343,000원 이하일 것
소득기준으로는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119,657원, 지역가입자 61,984원 이하이면 해당된다.

지원내용 만기수령조건
1. 지원내용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는 사업으로 청년 본인이 매월 10만원씩 동일한 금액으로 2년, 3년 기간동안에 꾸준하게 저축을 해야지 부산시의 1:1 매칭지원금을 수령할 수 있다. 만기시에 대상자 본인 저축액의 2배에 해당하는 금액과 이자를 수령할 수 있다.
저축기간 | 본인저축액 | 부산시지원금 | 만기수령액 |
24개월 | 240만원 | 240만원 | 480만원+이자 |
36개월 | 360만원 | 360만원 | 720만원+이자 |
2. 만기수령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만기수령에 있어서는 거주요건 외의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부산시 지원금을 전액 수령할 수 있다.
약정기간동안에 부산에 거주하면서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옮기면 안된다.
여기에 교육이수조건, 근로활동의 지속, 사용계획서 제출 등으로 부산시 매칭지원금을 만기수령하기 위해서는 조건을 꼭 필수적으로 채워야한다.
교육이수는 24개월, 36개월 모두 각 3회씩으로 금융교육을 반드시 이수해야한다.
근로활동에 있어서는 약정기간중에 60%이상 근로시 100% 매칭지원금이 지원되며, 20%미만의 경우에는 전액 지원이 불가하다.
근로기간 | 60%이상 근로 | 40~60%미만 | 20~40%미만 | 20%미만 |
24개월 | 14개월이상 | 9~14개월미만 | 4~9개월미만 | 4개월미만 |
36개월 | 21개월이상 | 14~21개월미만 | 7~14개월미만 | 7개월미만 |
부산시지원비율 | 100% | 70% | 40% | 0% |

마무리
매월 10만원을 자동이체로 저축하여 최대 720만원에 이자까지 수령할 수 있는 청년 지원사업이다.
본인저축액을 미납한 해당월의 경우에는 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없다보니 최대 지급액을 받기 위해서는 약정기간동안에 꾸준하게 저축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다만 청년도약계좌와는 중복개설이 불가하다보니 어떠한 저축상품이 본인에게 유리할지 충분히 검토하고 결정하도록 하자.
'이슈 >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계산 50% 100% 150% 급여 기준 (4) | 2025.07.01 |
---|---|
6월 자동차세 2025년 연납 신청 할인금액 총정리 (5) | 2025.06.29 |
3개월만 일해도 퇴직금? 퇴직연금 제도 법개정 내용 총정리 (6) | 2025.06.28 |
농지연금 토지연금 가입 조건 방법 노후 장단점은? (2) | 2025.06.27 |
결혼하면 100만원 축하금 경기도 결혼지원금 신청 자격 방법 (5) | 2025.06.26 |